드론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진입과 더불 어 IoT, AI,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과 결합 하면서 그 용도가 점점 더 확장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⋅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. 인명⋅정보⋅시설 등 자산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물리보안에는 다양한 통제수 단이 있으나 드론만큼 본질적으로 물리보안 에 적합하며 유용한 장비는 없을 것이다. 다만, 24시간 감시가 필요한 물리보안 분 야에서 드론의 물리적 한계로 인해 원만한 이용이 힘든 것이 사실이다. 이 연구는 먼저 물리보안 수준의 향상을 위해 드론을 도입 활용한다면 어떤 통제수 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, 그리고 이에 따 른 기술적⋅제도적 한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본 후,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향을 기술⋅구조상 방향과 법⋅제도 적 방향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, 연구 조사의 방법은 탐색조사 중 문헌조사의 방 법을 주로 이용하였다. 우선 미진한 국내 드론산업의 육성⋅발전 과 더불어 4차 산업혁명 시대 첨단기술을 접목한 드론 기술의 향상이 시급하다. 또한 물리보안에 드론을 활용하기 위한 기술적⋅ 과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, 지 금 진행되고 있는 정부의 UTM 구축 등 제 도적 완비와 함께 드론 운용 에티켓 준수 등을 기반으로 드론의 물리보안 활용도 상 용화될 것이다.